세움교회

전체 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바로가기

저서

이전 페이지 이동 홈 화면 바로가기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삶을 읽다 상』 새물결플러스, 2017년
운영자 2017.3.8 조회 998



<도서소개>


개혁교회의 가장 위대한 신앙 교육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의 실천적 재해석!

2017년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다. 하지만 작금의 한국교회는 즐겁고 떳떳하게 이를 맞이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올바른 말씀 해석에서 분리된 채 거룩과 개혁의 동력을 상실한 한국교회는 어느덧 공공의 손가락질을 받는 대상으로 전락해버렸기 때문이다. 이에 안팎으로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진 지금, 한국 개신교회가 성경적 실천을 중단하지 않고 교회 정체성을 올바로 이어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 중 하나는 교회 교육을 올바로 세우는 일이다. 물론 교육을 통해 성도들의 신앙을 기초부터 튼튼하게 하려는 시도는 당장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방법이다. 하지만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고백 위에 세워진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올바로 해석하고 바른 신앙을 전수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오늘까지 유구한 명맥이 이어져 올 수 있었다. 이는 “오직 성경”을 모토로 삼은 종교개혁가들의 삶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나는 특징이며, 한국교회의 미래를 염려하는 사람이라면 그 누구도 무시할 수 없는 사안이다.
여기서 우리가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과 같은 신앙 교육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분명해진다.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은 종교개혁의 열기 속에 신학 논쟁이 격렬하게 진행되던 1563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팔츠(Pfalz)라는 지역의 교회를 위해 작성되었다. 팔츠의 수도인 하이델베르크의 이름을 따라 명명된 이 교리문답은 개혁주의 교리를 정립하고 교육하기 위한 신앙고백이었다. 전체 129개의 문답을 52개의 장으로 나누어 매주 한 장씩 공부하면 1년에 전체를 공부할 수 있도록 배려한 구성도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의 교육적인 특색을 잘 말해준다. 이는 신앙 교육서의 만개한 형태 중 하나로서 개혁교회의 가장 위대한 신앙 교육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당신의 유일한 위로는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는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은, 16-17세기에 나온 개신교 교리문답 가운데 일반 성도들에게 가장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교리문답으로서 성경의 언어를 사용하여 인간의 구원 문제와 삶의 문제를 따뜻한 필치로 풀어준다. 게다가 개혁교회의 교리를 충분히 다루면서도 사도신경, 십계명, 주기도문 등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함으로써 교파를 초월해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 많다.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삶을 읽다』는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의 장점을 극대화한 해설서다. 이 책에는 개혁교회의 주요 교리문답에 대한 저자의 오랜 연구와 실천이 녹아 있다. 단단한 신학적 논의를 배경으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을 일반 신자들에게 가르쳐온 저자는, 상세한 해설과 친절한 안내로 독자들이 약 450년의 시차를 뛰어넘어 위대한 역사적 신앙 유산과 직접 대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을 “입체적”으로 읽고, 생각하고, 공부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혁교회는 전통적으로 주일 오후 예배 설교를 교리문답에 근거해 시행해왔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가르치는 일이 목사 개인의 한계나 성향에 제한받지 않게 하려는 조치였다. 그러한 신중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여기는 사람, 한국교회가 이제부터 다시 작은 씨를 뿌리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여기는 사람,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일은 전체 성경에 대한 진중한 재고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모두 이 책에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서론부 우리의 유일한 위로에 관하여
제1주일 유일한 위로(제1-2문)

제1부 우리의 죄와 비참에 관하여
제2주일 비참과 율법(제3-5문)
제3주일 사람 본성의 부패(제6-8문)
제4주일 죄에 대한 하나님의 벌(제9-11문)

제2-1부 우리의 구속에 관하여 I
제5주일 하나님의 의를 만족시킬 중보자(제12-15문)
제6주일 한 인격으로 참 신인이신 중보자(제16-19문)
제7주일 믿음과 사도신경(제20-23문)
제8주일 사도신경의 구분과 삼위일체(제24-25문)
제9주일 전능하신 하나님의 창조(제26문)
제10주일 하나님의 섭리와 그 유익(제27-28문)
제11주일 유일한 구원자 예수님(제29-30문)
제12주일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인의 뜻(제31-32문)
제13주일 하나님의 외아들인 우리의 주 그리스도(제33-34문)
제14주일 성령으로 잉태되어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나시고(제35-36문)
제15주일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아(제37-39문)
제16주일 그리스도의 죽음, 장사, 지옥에 내려가심(제40-44문)
제17주일 그리스도의 부활(제45문)
제18주일 그리스도의 승천, 그리고 신성과 인성의 비분리(제46-49문)
제19주일 그리스도의 하나님 우편에 앉으심과 심판하러 오심(제50-52문)
제20주일 성령(제53문)
제21주일 거룩한 공교회, 성도의 교제, 죄의 용서(제54-56문)
제22주일 몸의 부활과 영생(제57-58문)
제23주일 믿음으로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됨(제59-61문)
제24주일 우리의 의가 될 수 없는 선행(제62-64문)

부록 1.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의 배경
부록 2. 조 모임을 위한 도움말

부록 3.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구성 조감도 


댓글 0
상단으로